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android hilt
- 백준 1644
- 5582 파이썬
- 1753 다익스트라
- 코루틴 플로우
- 10819 파이썬
- 6588 파이썬
- flow buffering
- 2096 파이썬
- 백준 5582
- 투포인터 알고리즘
- Android Room
- 1806 백준
- 백준 2096
- 1644 파이썬
- 1003 파이썬
- 이진 탐색
- 안드로이드 hilt
- 1806 투포인터
- git local remote
- 백준 10819
- 1753 파이썬
- 5582 DP
- Android mvp
- 1806 파이썬
- java
- 자료구조
- Jetpack Room
- 자바
- Coroutine Flow
- Today
- Total
Gemstone's Devlog
[백준] 6588번: 골드바흐의 추측 (에라토스테네스의 체) 본문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6588
6588번: 골드바흐의 추측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, n = a + b 형태로 출력한다. 이때, a와 b는 홀수 소수이다. 숫자와 연산자는 공백 하나로 구분되어져 있다. 만약, n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라면, b-a가 가장 큰
www.acmicpc.net
이 문제는 먼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여 범위 내의 숫자 중 소수를 먼저 판별해야 한다.
그러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파이썬 코드로 구현하는 방법부터 꼭 암기해두자!
2. 소수 구하기 - 에라토스테네스의 체
# 소수 : 1과 그 수 자신 이외의 자연수로는 나눌 수 없는 자연수이다. # 코딩 소수인지 검사하는 함수(isPrime)를 만든다. 1부터 100 사이의 소수를 구하는 ...
wikidocs.net
위 내용을 참고하였다.
우선 소수인지 검사하는 함수 isPrime을 만든다.
n=100
def isPrime(a):
if(a<2):
return False
for i in range(2,a):
if(a%i==0):
return False
return True
for i in range(n+1):
if(isPrime(i)):
print(i)
에라토스테네스의 체
위의 코드는 해당 수보다 작은 모든 수로 나누어 보아서 소수인지 판단하는 방법으로, 소수의 정의에 충실한 방법이면서 무식하지만 가장 강력한 방법이다. 한 개의 소수를 구할 때는 그런대로 괜찮은 방법인데 범위의 모든 소수를 구할 때는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다. 소수를 구하기 위해 에라토스테네스가 제안한 방법은
다음과 같다.
에라토스테네스의 체 : 범위에서 합성수를 지우는 방식으로 소수를 찾는 방법
1. 1은 제거
2. 지워지지 않은 수 중 제일 작은 2를 소수로 채택하고, 나머지 2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.
3. 지워지지 않은 수 중 제일 작은 3을 소수로 채택하고, 나머지 3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.
4. 지워지지 않은 수 중 제일 작은 5를 소수로 채택하고, 나머지 5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.
5. (반복)
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파이썬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.
n=1000
a = [False,False] + [True]*(n-1)
primes=[]
for i in range(2,n+1):
if a[i]:
primes.append(i)
for j in range(2*i, n+1, i):
a[j] = False
print(primes)
그렇다면 다시 문제로 돌아와서 풀이를 생각해보자.
파이썬 풀이
# 백준 6588번
from sys import stdin
array = [True for i in range(1000001)]
for i in range(2, 1001):
if array[i]:
for k in range(i + i, 1000001, i):
array[k] = False
while True:
n = int(stdin.readline())
if n == 0: break
for i in range(3, len(array)):
if array[i] and array[n-i]:
print(n, "=", i, "+", n-i)
break
'Data Structure & 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644번: 소수의 연속합 (에라토스테네스의 체, 투 포인터) (0) | 2022.04.15 |
---|---|
[백준] 10819번: 차이를 최대로 (0) | 2022.04.13 |
[백준] 1003번: 피보나치 함수 (다이나믹 프로그래밍) (0) | 2022.04.04 |
[백준] 5582번: 공통 부분 문자열 (다이나믹 프로그래밍) (0) | 2022.03.31 |
[백준] 1806번: 부분합 (투포인터) (0) | 2022.03.29 |